요즘 뭐야? 소식통
K-패스 카드란? 정부가 지원하는 교통비 환급 카드
by 폴크님나리
2025. 8. 12.
chat gpt
K-패스는 국토교통부와 지자체, 카드사가 협력해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교통비 환급 정부 정책입니다.
- 2024년 5월부터 기존 ‘알뜰교통카드’를 대체하며 도입된 제도입니다. 기존 이용자는 ‘알뜰교통카드’에서 K‑패스로 전환할 수 있고, 신규자도 새로 가입 가능합니다
- 대부분의 카드사(신한, 국민, 삼성, 현대, 농협 등)에서 K‑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하고,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
가입 조건과 발급 방법
대상
- 만 19세 이상, K‑패스 사업 참여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된 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
신청 방법
- 카드사 K‑패스 전용 카드 발급
원하는 카드사를 통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형태의 K‑패스 카드를 신청
- K‑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
카드번호 입력, 본인 인증, 주소지 검증 등의 절차를 완료하면 가입 완료.
-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대상 전환
알뜰교통카드 계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, K‑패스로 회원 전환만 하면 이어서 혜택 사용 가능. 단, 적립 금액 전환은 2024년 6월 30일까지만 가능했습니다.
혜택 구조: 최대 53% 교통비 환급!
- 기본 환급률 20%
- **청년층(만 19~34세)**은 30%, **저소득층(기초수급자)**은 **53%**까지 해당합니다.
-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부터 혜택이 적용되며, 최대 60회까지 환급 가능.
- 가입 첫 달에는 15회 미만 이용해도 환급 제공되고, 이후부터는 이용조건에 따라 계산됩니다.
기초수급자 혜택 (저소득층)
- 저소득층에 해당되는 경우, 기본 20%에서 최대 53%까지 환급률 상승.
- 이는 정부의 복지 정책과 연계된 추가 지원이며, 기초수급자라면 꼭 확인해봐야 할 핵심 혜택입니다.
월별 적립 및 지급 일정
- 환급 적립금은 이용한 다음 달, 보통 5영업일경 카드사에 요청 후, 카드사별 지급 방침에 따라 7~9영업일 이내 지급됩니다. 지급 방식은 카드사마다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.
- 일부 카드사는 별도 날짜에 일괄 지급, 결제일 연동 지급 등 방식이 다르므로 사전에 확인하세요.
지역별 혜택 차이
- 전국적으로 이용 가능하지만, 지자체별로 추가 혜택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. 예: 인천의 ‘I‑패스’, 경기패스, 65세 이상 어르신 30% 환급 지역 등.
요약 요점
항목내용
대상 |
만 19세 이상, 해당 지자체 주민등록자 |
가입 방식 |
카드사 발급 → K-패스 앱/웹 등록 |
환급률 |
일반 20% / 청년 30% / 기초수급자 53% |
이용 조건 |
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 환급 |
지급 시기 |
익월 5영업일 요청 → 카드사별 지급 |
추가 혜택 여부 |
지자체별별 차등 제공 가능 |